[서울신문 나우뉴스]고대 악어 ‘데이노수쿠스’(Deinosuchus)의 그래픽 이미지.지구 역사상 최강의 포식자인 공룡까지도 잡아먹은 고대 악어 ‘데이노수쿠스’(Deinosuchus)의 새로운 비밀이 밝혀졌다. 최근 독일 튀빙겐 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데이노수쿠스가 번성했던 이유 중 하나는 ‘소금물에 대한 내성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 최신 호에 발표했다.약 7500만~8200만 년 전 살았던 데이노수쿠스는 버스만한 덩치와 바나나 크기 이빨로 고대 북아메리카의 강과 하구를 주름잡았다. 데이노수쿠스라는 속(屬)명은 ‘공포의 크로커다일’(terror crocodile)이라는 뜻이지만 지금까지 전문가들은 크로커다일보다는 악어의 다른 종인 앨리게이터에 더 가까운 것으로 평가해왔다.화석을 연구 중인 튀빙겐 대학 연구팀이번에 연구팀은 크로커다일과 앨리게이터 등 현생 악어류의 DNA와 데이노수쿠스 화석을 분석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데이노수쿠스는 현대 앨리게이터와 달리 염분 분비샘을 가져 소금물의 강한 내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 능력은 데이노수쿠스가 백악기 후기 생태계를 지배할 수 있는 강력한 조건이 됐다. 당시는 전 세계 해수면이 높았던 시기로 북아메리카를 가르는 광대한 내륙 해를 데이노수쿠스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또한 데이노수쿠스는 대서양 연안까지 서식지를 확장하면서 거대한 먹이로 가득찬 해안 습지까지 접근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잡아먹으며 덩치를 더욱 키웠다.논문의 수석저자인 마르톤 라비 박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데이노수쿠스의 몸길이는 적어도 8m 이상으로 습지 생태계를 장악한 거대하고 강력한 포식자였다”면서 “소금물에 대한 내성은 많은 악어류의 오래된 특성이지만 이후 앨리게이터류에서는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한편 데이노수쿠스는 약 6600만년 전 공룡 대멸종 이전에 멸절했으며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서울신문 나우뉴스]고대 악어 ‘데이노수쿠스’(Deinosuchus)의 그래픽 이미지.지구 역사상 최강의 포식자인 공룡까지도 잡아먹은 고대 악어 ‘데이노수쿠스’(Deinosuchus)의 새로운 비밀이 밝혀졌다. 최근 독일 튀빙겐 대학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데이노수쿠스가 번성했던 이유 중 하나는 ‘소금물에 대한 내성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 최신 호에 발표했다.약 7500만~8200만 년 전 살았던 데이노수쿠스는 버스만한 덩치와 바나나 크기 이빨로 고대 북아메리카의 강과 하구를 주름잡았다. 데이노수쿠스라는 속(屬)명은 ‘공포의 크로커다일’(terror crocodile)이라는 뜻이지만 지금까지 전문가들은 크로커다일보다는 악어의 다른 종인 앨리게이터에 더 가까운 것으로 평가해왔다.화석을 연구 중인 튀빙겐 대학 연구팀이번에 연구팀은 크로커다일과 앨리게이터 등 현생 악어류의 DNA와 데이노수쿠스 화석을 분석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데이노수쿠스는 현대 앨리게이터와 달리 염분 분비샘을 가져 소금물의 강한 내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 능력은 데이노수쿠스가 백악기 후기 생태계를 지배할 수 있는 강력한 조건이 됐다. 당시는 전 세계 해수면이 높았던 시기로 북아메리카를 가르는 광대한 내륙 해를 데이노수쿠스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또한 데이노수쿠스는 대서양 연안까지 서식지를 확장하면서 거대한 먹이로 가득찬 해안 습지까지 접근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잡아먹으며 덩치를 더욱 키웠다.논문의 수석저자인 마르톤 라비 박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데이노수쿠스의 몸길이는 적어도 8m 이상으로 습지 생태계를 장악한 거대하고 강력한 포식자였다”면서 “소금물에 대한 내성은 많은 악어류의 오래된 특성이지만 이후 앨리게이터류에서는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한편 데이노수쿠스는 약 6600만년 전 공룡 대멸종 이전에 멸절했으며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